c 납골당 49재 뜻, 장소 및 방법, 시간, 상차림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life & convenience

납골당 49재 뜻, 장소 및 방법, 시간, 상차림 총정리

by ✿☆✣☛ 2024. 7. 20.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보통 삼우제와 49재라는 걸 드려야 한다고들 합니다. 화장을 하셨다면 납골당 안치 장소에서 49재를 하게 될텐데요, 노잣돈을 드려야 하는지, 절을 몇 번하는지, 꼭 절에 가서 드려야 하는지 등에 대해 신경이 쓰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오늘은 이런 궁금증에 대해 시원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49재 뜻과 배경

 

49재는 불교에서 유래한 의식으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49일 동안 매 7일마다 7회에 걸쳐 진행하는 천도의식으로 알려집니다. 그럼, 이 의식이 가지는 의미와 배경은 무엇일까요?

 

  • 중음 기간의 의미 :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다음 생을 받기까지 49일간 중음(中陰) 상태에 머문다고 믿는다고 합니다. 즉, 이 기간 동안 망자의 다음 생이 결정된다고 여깁니다.
  • 좋은 내세를 위한 기원 : 49재의 주요 목적은 망자가 좋은 곳에 환생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이 의식을 통해 망자가 삼악도에 들어가지 않고 보다 나은 세상에서 태어나기를 기원합니다.
  • 역사적 배경 : 우리나라에서 천도의식의 정확한 시작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신라 시대부터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현재와 같은 칠칠재 양식은 조선 시대부터 성행했다고 합니다.
  • 문화적 영향 : 49재는 불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 사이에서도 널리 행해지는 의식이 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관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효(孝) 문화와의 연관 : 조선 시대에는 왕실에서도 49재를 지내려 했으며, 이는 효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여겨졌습니다.

이처럼 49재는 불교라는 특정 종교 의식에서 시작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던 것이 점점 다른 종료 내지 효 문화와 연결되면서 변천되었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납골당 49재 뜻-방법-장소

49재를 반드시 지켜야 하는지

 

보신 것처럼, 49재는 불교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만일 개신교 혹은 카톨릭 등 종교적인 신념이 다르다거나 불교신자라고 하더라도 반드시 49재를 지켜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한편, 49재를 반드시 절에서 지켜야 하는지도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부모님을 생각하는 정결한 마음으로 가정에서 간단히 의식을 하면 충분하다고 보여집니다. 물론, 부모님을 납골장에 안치하신 경우라면 그곳에 가족이 모여 간단한 추모의 시간을 갖는 것이 좋겠지요. 

 

🚩 납골당 안치

 

 

납골당 안치 비용 및 절차 ; 사설 및 공설, 개인단과 부부단에 따라 차이 발생

오늘은 납골당 안치 비용 및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납골당은 사랑하는 이들의 마지막 안식처이자, 유가족들이 추억을 나누고 위안을 얻는 의미 있는 장소입니다. 그런데 납골당 안치 가격은

trdn.tistory.com

 

 

49재 장소와 시간

 

말씀드린 것처럼, 49재는 불교에서 유래한 의식으로,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 7일마다 한 번씩 7회에 걸쳐 지내는 천도의식입니다. 불교신자인 경우는 절에서 49재를 드릴 수도 있지만, 불교신자라고 하더라도 여러이유로 절을 찾지 못하는 사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흔히, 49재는 절에서 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생전에 고인이 자주 찾았던 절 등에서 제사를 드리는 것이지요. 다만, 최근에는 거리에 따른 시간 문제와 비용 문제로 인해 가정에서 간단하게 초재와 49재를 지내고 마무리하기도 합니다. 

납골당 안치 장소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장례식 후 90%가 화장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약 10년 동안 화장을 선택한 비율은 60%가 넘었다고 합니다.

 

화장 선택 비율 90%

 

 

이렇게 화장을 선택한 비율이 크게 늘게 됨에 따라 납골당의 숫자 역시 늘어났습니다. 즉,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거나 유골함을 수목장하는 비율이 늘어난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유족들은 49재를 납골당 안치 장소에서 드리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봉안당(납골당)을 사찰에서 운영하는 것도 이러한 추세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입니다. 

 

 

48재 시간

 

49일 기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기일)을 기준으로 매 7일째마다 7회에 걸쳐 지냅니다. 예를 들어, 1월 1일에 돌아가셨다면 초재는 1월 7일, 2재는 1월 14일, 마지막 49일째 되는 날은 2월 18일이 됩니다. 

 

다만, 49재를 지내는 시간은 특정하게 정해진 것이 없으며, 유족들이 정하기 나름입니다. 과거 제사를 지내던 문화에서는 밤에 의식을 치뤘기 때문에 그 의식이 남아서 밤에 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하나 근거는 없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최근에는 시간과 비용의 문제로 인해 첫 번째 재(초재)와 마지막 49일째 재만 지내는 경우도 많고, 시간도 가족들이 정한 적당한 시간에 지내면 되겠습니다.

 

49재 절차  및 방법

 

48재 절차

 

초재, 중간재, 마지막재로 구분되지만, 굳이 이렇게 구분하여 지내야 하는 근거가 없다는 것은 이미 말씀드렸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초재 (첫 번째 재)

  •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7일째 되는 날 지냅니다.

중간 재

  • 이후 매 7일마다 재를 지내며, 총 7번의 재를 지냅니다.

막재 (마지막 재)

  • 49일째 되는 날 지냅니다.

49재 준비물과 상차림

 

준비물

사찰에서 진행하면 대부분의 준비물을 제공하지만, 가정에서 드리는 경우 굳이 격식을 차릴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상차림

  • 불교식 절차에 따른다면, 육류나 생선을 배제하고 채식 위주의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가정에서 지낸다면, 고인이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을 준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부모님을 추모하는 마음은 한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49재를 드리는 것은 자식들된 도리일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정성을 다하는 것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자식들이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49재를 지내면 되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노인 장기요양등급을 받을 수 있는 노인성 질병 종류

노인 장기요양등급을 받을 수 있는 노인성 질병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등급신청을 할 수 있는 대상과 자격 그리고 절차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아울러 노인성 질병의 종류는 무엇인

trdn.tistory.com

 

 

노인 장기요양등급 신청자격 및 절차

노인 장기요양등급 신청자격 및 절차를 소개합니다.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는 65세 이상 고령 어르신과 65세 미만이더라도 노인성 질병을 앓고 있는 분들에게 신체활동과 일상생활 지원 등 서비

trdn.tistory.com

 

 

장기요양등급별 서비스 종류와 본인부담금

장기요양등급별 서비스 종류와 본인부담금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 노인 또는 노인성 질병이 있는 65세 미만이신 분 중에서 6개월 이상 홀로 일상생활을 수행하

trdn.tistory.com

 

댓글